** 평가 영역·요소·지표 평가 영역 | 평가 요소 | 평가(조사) 지표 내용 | 교장 | 교감 | 학교경영 (4요소, 8개 지표) | 학교교육계획 | - 학교 경영 목표 관리 - 교육과정 편성·운영 - 창의 인성 학생 관리 | - 학교경영목표관리 지원 -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원 - 학사업무관리 | 교내 장학 | - 교실수업개선 - 자율장학 운영 | - 교실수업개선 지원 - 자율장학 지원 | 교원 인사 | 교원 인사 관리 | 인사업무 수행 | 시설 및 예산 | - 시설 관리 - 예산 편성 집행 | |
** 교장,교감선생님 평가문항은 지역교육청에서 개발되어 시스템에서 자동 적용됩니다.(의견수렴대상 제외) 2 | | 일반교사 평가영역‧요소‧지표(담임, 전담교사) |
평가영역 | 평가요소 | 평가(조사) 지표 | 학습지도 (3요소, 12개지표) | 수업 준비 | ○ 교육과정의 이해 및 교수ㆍ학습방법 개선노력 ○ 학습자 특성 및 교과내용 분석 ○ 교수・학습 전략수립 | 수업 실행 | ○ 수업의 도입 ○ 교사의 발문 ○ 교사의 태도 ○ 교사-학생 상호작용 ○ 학습자료의 활용 ○ 수업의 진행 ○ 학습정리 | 평가 및 활용 | ○ 평가내용 및 방법 ○ 평가결과의 활용 | 생활지도 (2요소, 6개지표) | 개인 생활지도 | ○ 개인문제의 파악 및 창의・인성 지도 ○ 가정 연계 지도 ○ 진로 지도 및 특기・적성 지도 | 사회 생활지도 | ○ 기본생활습관 지도 ○ 학교생활적응 지도 ○ 민주시민성 지도 |
평가영역 | 평가요소 | 평가(조사) 지표 | 교수․ 연구활동 지원 (2요소, 6개지표) | 수업 지원 | ○ 상시 수업 공개 ○ 교수․학습 전략 지원 ○ 수업 컨설팅(코칭, 멘토링) | 연수․연구 지원 | ○ 교내 연수 지원 ○ 학습조직화 지원 ○ 학습자료의 활용 지원 | 학습지도 (3요소, 12개지표) | 수업 준비 | ○ 교육과정의 이해 및 교수ㆍ학습방법 개선노력 ○ 학습자 특성 및 교과내용 분석 ○ 교수・학습 전략수립 | 수업 실행 | ○ 수업의 도입 ○ 교사의 발문 ○ 교사의 태도 ○ 교사-학생 상호작용 ○ 학습자료의 활용 ○ 수업의 진행 ○ 학습정리 | 평가 및 활용 | ○ 평가내용 및 방법 ○ 평가결과의 활용 | 생활지도 (2요소, 6개지표) | 개인 생활지도 | ○ 개인문제의 파악 및 창의・인성 지도 ○ 가정 연계 지도 ○ 진로 지도 및 특기・적성 지도 | 사회 생활지도 | ○ 기본생활습관 지도 ○ 학교생활적응 지도 ○ 민주시민성 지도 |
◦ 특수 및 비교과 교사별 직무 내역(영역)에 따라 「학생 지원」이라는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평가 요소 및 지표 구성 구분 | | | | 1 | 개별화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 | 학교보건 기본계획 | 영양교육 및 식생활 지도 | 2 | 학습자 특성 및 교과내용 분석 | 학생건강검사 | 식생활 정보제공 및 상담 | 3 | 교수・학습 전략수립 | 질병예방관리 | 조리실 종사자 지도 및 감독 | 4 | 수업의 도입 | 응급환자관리 | 식재료 공급업체 지도 및 감독 | 5 | 교사의 발문 | 일반 건강 및 의료상담 | 시설 및 기기 관리 | 6 | 교사의 태도 | 요양호 학생관리 | 검식 실시 및 식품 위생 관리 | 7 | 교사-학생 상호작용 | 보건교육계획 | 영양소 및 열량 분석 | 8 | 학습 자료의 활용 | 보건교육운영 | 맛과 다양성 | 9 | 수업의 진행 | 보건교육평가 | 식재료의 예산 편성․집행 | 10 | 학습정리 | | 식재료 검수기준 이행 | 11 | 평가내용 및 방법 | | | 12 | 평가결과의 활용 | | | 13 | 개인문제파악 및 창의․인성 지도 | | | 14 | 가정연계지도 | | | 15 | 진로진학지도 및 특기적성 지도 | | | 16 | 기본생활지도 | | | 17 | 학교생활적응지도 | | | 18 |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관련 지표 | | | | | | | 구분 | | | | 1 | 도서관 이용의 활성화 | 연간 계획 및 홍보 | | 2 | 경영계획 및 관리 | 실태분석 및 활용 | | 3 | 인적자원 관리 | 상담전략 수립 | | 4 | 정보서비스 | 개인상담 | | 5 | 자료조직 및 장서관리 | 집단상담 | | 6 | 정보시스템 운영 및 활용 | 사이버상담 | | 7 | 도서관 이용자 교육 | 추수지도 | | 8 | 도서관 활용 수업 및 협동수업 | 연계지도 | | 9 | 독서교육 | | | 10 | 정보활용교육(정규수업인 경우) | | |
*** 평가 문항의 구성 방안 동료교원평가의 문항 구성 동료교원평가 문항은 평가 지표를 중심으로 최소 15문항을 구성하며,교사(담임,교과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 문항을 구성함
학생 및 학부모 만족도조사의 문항 구성 학생 및 학부모 만족도조사는 평가 요소를 중심으로 최소 5문항을 구성하되, 동료교원 평가에서 선정한 평가 지표 중 일부로 문항을 구성함(※ 2개 이상 평가 지표 통합 문항 불가) - 자기 성찰 문항(2문항) 제시 권장: 평가 결과에 반영되지 않음 자유서술식 응답 양식 반드시 2문항 제시(좋은 점, 바라는 점)(필수) 개별교원 특색교육활동 학생만족도조사 실시할 경우 2문항 이내로 가능, 개별교원 본인이 학습지도 또는 생활지도 관련하여 구성하며 학교평가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확정됨
|